Posts by editor

AMD and Korean telco KT back AI software developer Moreh in $22M Series B

October 26th, 2023 Posted by Portfolio News 0 thoughts on “AMD and Korean telco KT back AI software developer Moreh in $22M Series B”

Advanced Micro Devices (AMD) and Korean telco KT are among the investors of Moreh, which builds an AI software tool that optimizes and creates AI models. The Santa Clara- and Seoul-based startup said it has raised a $22 million Series B round, bringing its total raised to $30 million.

Moreh says its flagship AI software, called the MoAI, is similar to Nvidia’s CUDA but is compatible with existing machine learning frameworks like Meta’s PyTorch, Google’s TensorFlow, and applications and AI models that previously could only run on Nvidia.

The startup believes existing AI software is suitable for small-scale AI models using only a few GPUs (graphics processing units) but is inadequate for more massive AI infrastructure. According to a recent report, as “AI is rapidly maturing at enterprise scale,” companies’ IT infrastructure and data architectures are “unfit” for training AI models.

Moreh’s AI solutions allow users, including AI developers, data center operators and AI chip makers, to build more flexible AI infrastructure, important given the general shortage of GPUs globally, Gangwon Jo, co-founder and CEO at Moreh, told TechCrunch.

The three-year-old startup’s AI software enables GPUs and other AI chips, such as neural processing units (NPUs), to operate AI models, including large language models (LLMs) like GPT-3 and T5, without any code changes, Jo explained. (NPU is a specialized chip designed to accelerat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while GPU is used for supercomputing, AI, machine learning, and extensive data analysis where numerical precision is required.)

KT has been working with Moreh since 2021 to build a cost-effective, scaleable AI infrastructure powered by AMD GPUs and MoAI software.

KT claims that Moreh’s offering proved its technology works and that its performance in developing LLM and other AI models surpassed Nvidia’s DGX in terms of performance speed and GPU memory capacity. AMD’s MI250 Instinct accelerator powered by the MoAI platform showed 116% higher GPU throughput than Nvidia’s A100, according to Moreh, which also said AI developers could reduce a tenth of the total time required to initiate training for large AI models via its software.

Most recently, the startup completed the training of Korean-language-based LLM with 211 billion parameters and will release the model as open source later this year.

Moreh started generating revenue in 2021 and aims to reach approximately $30 million by the end of 2023, Jo told TechCrunch.

“The AI software ecosystem supporting AMD AI hardware continues to grow, providing choice for data scientists and other users of AI as they build the AI models and solutions that will drive the continued growth of this industry,” Brad McCredie, corporate vice president of data center GPU and accelerated processing at AMD, said in a statement.

Moreh will use the money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product expansion and hiring additional staff, which now has 70 employees. South Korean VC firms Smilegate Investment and Forest Partners, Moreh’s existing investor, also participated in the Series B round.

Kate Park

기사링크

Fabless FADU taps institutional demand to raise about $151 mn

July 24th, 2023 Posted by Portfolio News 0 thoughts on “Fabless FADU taps institutional demand to raise about $151 mn”

FADU Technology, the first unicorn in South Korea’s semiconductor sector, has embarked on a process to raise up to 193.8 billion won ($151 million) in an initial public offering next month to develop next-generation semiconductors to lead the global data center chip market.

The Korean fabless startup that develops architecture for solid-state drive (SSD) controllers and storage products, on Monday commenced its two-day bookbuilding session with institutional investors to sell 6.25 million shares, including 350,000 shares owned by its employees under an employee stock ownership plan, as new shares.

The total shares up for grabs would account for 13% of its entire issued shares once they are listed.

FADU’s indicative IPO price band is set between 26,000 won and 31,000 won apiece. The company would raise up to 193.8 billion won if it sells the shares at the top end of the guided price range.

Its market capitalization would also reach 1.49 trillion won.

FADU will use the IPO proceeds to mass produce its chips and develop next-generation chip architecture,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chips and the Compute Express Link (CXL), a new interface to interconnect processors like central processing units (CPUs), multiple memory devices and accelerators like graphics processing units (GPUs), between 2027 and 2030 to offer data centers across the world a comprehensive semiconductor package.

“(Our) SSD controllers for corporate use are ready for commercial production, and they are recognized by global data centers as one of the world’s best products in terms of performance and reliability,” said FADU.

KOREA’S FIRST CHIP UNICORN

Founded in 2015, the company became Korea’s first unicorn, or a private company worth $1 billion or more, in the country’s semiconductor sector in February when it raised 12 billion won during its pre-IPO funding round.

It received more than its initial target, underscoring high expectations for the system chip market set to take off thanks to surging demand for the 5G network, autonomous driving, AI and the Internet of Things as well as augmented reality.

System chips, or non-memory semiconductors, control logic, calculations and other functions, and they account for nearly 70% of the global semiconductor market worth 560 trillion won.

The SSD controller, in which FADU specializes, is a system semiconductor that controls an SSD module.

The Korean fabless startup, headquartered in Seoul and with offices in Silicon Valley, California, is led by Chief Executive and co-founder Lee Ji-hyo, a former partner at Bain & Company, and Chief Technology Officer and co-founder Nam Eyee-hyun, a former SK Telecom Co. researcher.

The company reported 32.5 billion won in operating losses in the first three months of this year on sales of 17.6 billion won.

It plans to confirm its IPO price early this week and kick off its public subscription July 27 and 28.

It aims to make its Kosdaq market debut on August 7.

NH Investment & Securities Co. is the lead underwriter, joined by co-underwriter Korea Investment & Securities Co.

기사링크

포레스트파트너스, CSO에 황호연 타이거 퍼시픽 캐피탈 공동 설립자

February 1st, 2023 Posted by Company News 0 thoughts on “포레스트파트너스, CSO에 황호연 타이거 퍼시픽 캐피탈 공동 설립자”

[파이낸셜뉴스] 국내 사모투자펀드(PEF)운용사 포레스트파트너스의 제네럴파트너(General Partner) 이자 최고전략책임자(CSO)에 황호연 타이거 퍼시픽 캐피탈 (Tiger Pacific Capital LP)의 공동 설립자가 선임됐다.

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포레스트파트너스는 황호연씨를 제네럴파트너, CSO에 선임했다.

황호연 파트너(CSO)는 서울대학교에서 전자공학 학사를, 스탠포드 대학에서 MBA 학위를 취득했다. 베인 앤 컴퍼니(Bain & Company), 타이거 아시아 매니지먼트(Tiger Asia Management)를 거쳤다.

황 파트너가 공동설립한 타이거 퍼시픽 캐피탈은 최근 작고한 헤지펀드의 전설인 줄리안 로버슨(Julian Robertson)이 시딩한 뉴욕 기반의 롱숏 주식 헤지펀드다. 펀더멘탈에 대한 집중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여 시장과 연동성이 적은 안정적인 실적을 올린 것으로 알려져있다. Trip.com, TAL Education, Noah Holdings, Yum China 등 아시아 중심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다.

황 파트너는 포레스트파트너스의 투자 포트폴리오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와 회사의 전략 부문을 진두지휘할 예정이다. 포레스트파트너스와 그의 자회사인 포레스트벤처스를 중심으로 파트너로서 딜 소싱, 기업 분석, 투자의사결정과 같은 모든 투자 프로세스뿐 아니라 CSO로서 회사 전체의 성장 전략을 주도한다.

한승 대표는 “포레스트파트너스는 한국 시장만이 아닌 글로벌 시장에서 사업을 펼치는 포트폴리오를 주요 투자처로 육성하고 있고, 이에 맞춰 LP(투자자) 풀 역시 글로벌 LP로 확장하는 노력을 하고 있는데 이렇게 또 한 분의 경험이 풍부한 투자 베테랑이 우리 팀에 함께 하게 되었다”며 “앞으로 포레스트파트너스의 전략적 방향 설정과 투자 결정에 중추적인 역할을 해 주실 것”으로 기대했다.

황호연 파트너는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을 발굴하고 투자기업과 진정한 동반자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이 탁월한 포레스트파트너스에 합류하게 돼 진심으로 기쁘다”며 “글로벌 펀드에서의 상장사 투자 및 컨설팅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 분석을 통한 최적의 투자, 상장 이후까지 고려한 기업별 성장 전략 수립, 글로벌 유동성에 따른 리스크 관리 등 다양한 방면에서 포레스트파트너스와 투자 포트폴리오사들의 성장과 운영을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포레스트파트너스는 특정 투자단계에 국한되지 않고 회사의 성장성에 투자하는 그로쓰 캐피탈을 중점으로 운용한다. 한국인 창업자와 초기 단계의 성장중인 기업 투자에 초점을 맞춘 독립계 벤처캐피탈인 포레스트벤처스를 자회사로 두고 있다.

2016년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로 출발해 투자전문성 강화를 위한 포레스트벤처스(VC)를 설립했다. 올해 글로벌 업계 최고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산운용사를 인수를 진행 중이다.

초기 단계에 발굴한 트릿지(Tridge), 파두(FADU), 리카본(ReCarbon) 등의 성공적인 후속 투자를 주도하며 투자 역량을 입증했다.

투자 수익의 극대화를 위해 운용인력의 전문성과 마켓 인사이트를 활용, 포트폴리오 기업들의 엑싯 시점 예측은 물론, 다운사이드 리스크를 적극 관리하고 있다.

포레스트파트너스의 운용자산(AUM) 규모는 다수의 프로젝트 펀드와 블라인드 펀드를 합쳐 약 5750억원이다. 3번째 블라인드 펀드를 조성 중이다.

강구귀 기자

기사링크

In the Fresh Food Business, a Middleman Can Be a Good Thing

May 23rd, 2022 Posted by Portfolio News 0 thoughts on “In the Fresh Food Business, a Middleman Can Be a Good Thing”

The Korean start-up Tridge is working to create a network for buyers and sellers, collecting valuable data in the process.

Visionaries is a limited series that looks at figures who are trying to transform the way we live.

The last year has provided a number of reminders that the connections that create the global economy can be tenuous. In March 2021, high winds from a sandstorm blew a container ship sideways in the Suez Canal, blocking about 12 percent of global trade for nearly a week. And this February, trade sanctions over the war in Ukraine stopped many shipments of fresh produce to Russia.

In both cases, the customers of a Korean start-up called Tridge were quickly able to find alternate buyers for their perishable products, sometimes redirecting them when they were already en route by sea.

Traditionally, the fresh produce business has been conducted in a relatively binary way between buyers and sellers. A seller might sell to a variety of buyers, and a buyer might buy from a variety of suppliers, but the global trade in fruits and vegetables was never truly networked — at least, until Tridge came along.

Hoshik Shin, formerly a private equity fund manager at Korea Investment Corporation, Korea’s $200 billion sovereign wealth fund, is building such a network, with a presence in nearly 100 countries so far. His company works directly with farmers and grocery stores, often buying from one and selling to the other to remove the lack of transparency and trust that permeates the global trade in fresh food.

And when something interrupts that trade, Tridge can quickly find new buyers in other countries before the produce goes bad — much like the internet redirects traffic when one server in a network goes down.

What’s remarkable is that Tridge — the name is a portmanteau of transaction and bridge — works at low margins, slight enough that it doesn’t interfere with the flow of trade. It can do this because its operations generate a valuable byproduct: data. Tridge records the price, quality and volume of every item it handles, and sells that data to both sellers and buyers, offsetting all the other costs.

Mr. Shin’s ambition is to aggregate that data into a massive, moving, real-time image of fresh produce on the planet. Anyone can subscribe to Tridge’s intelligence platform and watch the world grow, harvest, pack and ship everything from Indonesian mangosteens to American lemons.

Can you tell us what you’re trying to do with Tridge?

Our vision is to create a fully consolidated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 for the global food and agriculture industry.

This market has been frustrated by a lack of transparency. There’s mistrust between even big buyers and big vendors who have been building relationships for decades. When there’s a distribution problem, vendors don’t get fully paid, and when the market is good, buyers feel that they overpay.

Tridge plays the role of a very transparent intermediary, trusted by both sides.

Why more trusted than conventional methods?

Farmers can move to better grading systems and value-added products, and increase their income, as happened with beef. Forty years ago, there wasn’t such a sophisticated grading system for beef.

Users can check the market research they need. If there are products they want to source, they can check the prices and availability from all geographic regions and they can easily place an order.

Suppliers can diversify their sales channels and buyers can secure more stable supply chains. They can easily switch from country to country or region to region.

Everything from research to supplying the physical goods can be done at one stop.

Can you give an example?

When the sanctions against Russia hit, we had 100 containers of oranges heading to Russia from Egypt. We sent them to other regions, to the United Arab Emirates, the Netherlands and China. Otherwise, we might not have gotten paid, or the fruit could have perished.

We just don’t suddenly redirect shipments of that size to one country because the sudden supply can affect pricing in that region. We divide it up at one of our warehouses and then distribute it across several markets.

It seems like a huge task to build a global network.

It hasn’t been easy. Building our data platform was the biggest challenge, because we are dealing with so many different products. It took five years of intense work to put it together and map the data on a global scale.

And food and agriculture is a very conservative industry. It’s a relationship business. Who you know at a retail chain matters. So, our lack of historical presence in a rather conservative industry has been a challenge, one that we continue to work on.

To build trust and profile, Tridge implements tougher verification standards than is the industry norm. We assume responsibility for logistics, payments, deliveries and claims, acting as market maker for more than 15,000 agricultural products.

And it hasn’t been easy to learn the trade processes of different countries, the legal issues and logistics. It may seem easy now that we have it all figured out, but there were nights when we stayed awake wondering whether our shipments would reach their destination.

How did this start?

I was working for the private equity investment arm of Korea’s sovereign wealth fund, running a $2 billion fund solely dedicated to commodity investing. I was writing checks for $100 million to $200 million for commodity related companies. So, I got to know the commodity space.

Then I built a platform for a kind of expert network for professionals who could help source commodities for a finder’s fee — a company like Nestlé looking for a key ingredient in a certain country, or is there somebody I can talk to in France about grapes? We gathered almost 40,000 people around the world, each representing their market, and we compensated people for their connections.

Through that process, we extracted a lot of intelligence.

Energy and chemical deals were quite big, the frequency was lower, and the deals were dominated by a few big players, whose influence is huge. So, 70 to 80 percent of the expert network queries came from agriculture and we realized that market is fully fragmented. Nobody is dominant.

With produce there are thousands of products and varieties that were never standardized. So, in the beginning, we put resources into building a data architecture to structure the scientific varieties, cultivation types, packaging and gradings. Without such a structure, you can never pile up this type of data.

So, we became a kind of center point of gravity. And once our mass was large enough, we could standardize it.

Can you talk about the role of market intelligence on your platform?

We compile the data, and the data becomes intelligence, and the intelligence attracts users, and many of them turn into premium users, becoming our buyers, our suppliers. They start doing transactions with us, and those transactions create more data and feed back to our data intelligence. So, there’s a flywheel effect that actually gets stronger with time.

Our suppliers, when they deal with Tridge, can deal with many buyers simultaneously without deploying salesmen to many countries. And that aggregated demand gives us better bargaining power.

Craig S. Smith

기사링크

숏폼 영상 활용 마케팅 닷슬래시대시, 50억 투자 유치

February 17th, 2022 Posted by News, Portfolio News, Uncategorized 0 thoughts on “숏폼 영상 활용 마케팅 닷슬래시대시, 50억 투자 유치”

숏폼 콘텐츠 기반의 마케팅 플랫폼 닷슬래시대시(대표 이창우)가 17일 50억 규모의 프리시리즈 A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포레스트파트너스 단독으로 이루어졌으며, 앞서 받은 시드 투자와 합쳐 누적 투자금액은 총 70억이다.

닷슬래시대시는 커머스와 콘텐츠 분야의 대세인 숏폼 영상을 활용한 마케팅 플랫폼으로, 텐바이텐과 29CM를 이끌었던 이창우 대표의 3번째 도전이다. 앞선 사업들에서의 성공 경험이 ‘개개인의 기록에 중점을 둔 콘텐츠를 활용한 플랫폼’이라는 새로운 시도에서도 통할지 관심이다.

닷슬래시대시는 SNS와 커머스가 결합된 형태로 창작자에게는 팬을 모을 수 있는 기회를, 브랜드에는 마케팅에 필요한 콘텐츠를 제공해 준다.

쉽게 말해 사용자 개개인은 닷슬래시대시의 마이페이지에 자신이 기록한 콘텐츠를 기반으로 다양한 브랜드들과 함께 마케팅 프로젝트들을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브랜드는 브랜드 관여도가 높은 사용자가 창작한 양질의 콘텐츠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업로드된 콘텐츠들을 닷슬래시대시가 선별해 소개하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는 SNS 형태의 비디오 매거진으로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콘텐츠 소비자이면서 동시에 콘텐츠 창작자도 될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다.

닷슬래시대시는 앞으로 플랫폼을 통해 창작자-브랜드-소비자가 다양한 형태의 상품을 기획하고 판매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에 유치한 투자금은 작년에 런칭한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홍보하고, 개발 인력을 비롯해 우수한 인력을 확보하는데 중점적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진출도 염두해 둬 이에 대한 기반 작업도 병행해 나갈 예정이다.

닷슬래시대시 이창우 대표는 “그동안의 이커머스 시장은 오프라인에서의 구매 행태를 온라인화시키며 성장했는데, 앞으로는 개인이 생산하고, 팬에게 판매하며 이를 자산화해 유통하는 ‘NFT를 통한 디지털 상품’을 중심으로 시장 구조가 변화할 것으로 내다본다”고 말했다.

그는 “닷슬래시대시는 창작자를 브랜딩하고 이들이 만든 디지털 상품을 NFT를 활용하여 자산화하고 마케팅하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미래 시장 재편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투자를 주도한 포레스트파트너스의 한승 대표는 “연쇄 창업가인 이창우 대표와 팀의 역량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숏폼 콘텐츠 영상에 영리하게 커머스를 접목해 문제를 풀어나가는 방식이 흥미로웠다”고 평했다. 이어 “콘텐츠를 생산해 내는 창작자의 역할이 마케팅 측면에서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바, 기존 시장의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틱톡과는 차별적인 마켓팅 플랫폼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 잠재력이 기대된다”고 투자 이유를 밝혔다.

김현아 기자

기사링크

포스코·GS, 美수소기업 ‘리카본’ 투자…”친환경 신사업 박차”

January 27th, 2022 Posted by News, Portfolio News, Uncategorized 0 thoughts on “포스코·GS, 美수소기업 ‘리카본’ 투자…”친환경 신사업 박차””

포스코와 GS그룹이 미국 실리콘밸리 소재 기후기술 전문기업 리카본(ReCarbon)에 투자했다. 특히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해 친환경·저탄소 기술 개발에 협업할 예정이다. 탄소중립 시대를 대비해 미래 신사업 선점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리카본은 27일(현지시간) 포스코와 GS가 참여한 2500만 달러(약 300억원) 규모 시리즈B1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리카본은 한국인 김중수 대표가 지난 2011년 실리콘밸리에 설립한 벤처기업이다. 온실가스를 저탄소 합성가스와 그린 수소로 전환하는 ‘플라즈마 탄소전환장치(Plasma Carbon Conversion Unit·PCCU)’를 개발했다. 이산화탄소를 감축시키는 동시에 수소와 일산화탄소를 생산할 수 있다는 점이 경쟁력으로 꼽힌다. 리카본의 PCCU는 쓰레기 매립장, 석유화학 공장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정유 사업 비중이 큰 GS그룹은 탄소중립 시대에 대비 친환경 신사업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실제로 국내외에 벤처캐피탈을 설립해 바이오, 에너지 등 분야의 스타트업 발굴·육성에 적극해서 나서고 있다. 포스코 역시 이산환탄소 배출 저감을 위해 수소환원제철을 비롯한 탄소중립 생산 체제 구축을 추진 중이다.
허서홍 GS 미래사업팀 부사장은 “GS는 디지털과 기후기술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 비전을 공유하는 기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며 “리카본과 협업을 통해 리카본의 우수한 기술을 적용해 탄소제로 시대에 큰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신대호 포스코 벤처펀드그룹장은 “리카본의 기술이 포스코 등 글로벌 기업이 지속가능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홍성환 기자

기사링크

Korean agritech startups in spotlight for fast growth

January 18th, 2022 Posted by News, Portfolio News 0 thoughts on “Korean agritech startups in spotlight for fast growth”

South Korean agritech startups come under limelight for fast creation of new markets and sales leads by connecting farmers and consumers across the globe with innovative business models and agricultural big data, as well as providing smart farming solutions to farmers.

Tridge, Seoul-based cross-border digital trading and market intelligence solution provider for food and agriculture buyers and suppliers, is set to become Korea’s first agritech unicorn after it successfully received $60 million investment from Forest Partners in a Series C investment last year that valued the company at $500 million, up from $140 million since its last funding round in April 2020.

With Tridge’s fulfillment and market intelligence solutions backed by its own big data on global agricultural production sites, crop conditions, and price changes, food and agriculture buyers across the world can easily diversify sourcing channels and hedge supply chain risk.

For example, when Brazil, the world`s largest coffee producer, suffered a more than 30-percent plunge in coffee production last year due to drought and cold waves, many buyers approached Tridge to source coffee beans. Through its fulfillment solution in which Tridge serves as a supplier for the products buyers need, the company develops and manages supply chains for acquiring food and agriculture products, assures quality of the products and delivers the products using its own global logistics network.

The platform saw a notable surge in its user numbers in 2020 when the Covid-19 pandemic took a heavy toll on the global food and agriculture supply chain, and it expects its total fulfillment revenue to triple to 1 trillion won ($838.6 million) in 2022. Its average monthly fulfillment transactions currently amount to 20 to 30 billion won.

Buyers and suppliers also can have access to market trend information such as price indices for different agricultural produces via Tridge market intelligence and data service.

More than 90 percent of its customers are global retailers such as Wal-Mart, Carrefour, and Nestlé.

Written by: Jung Hyuk-hoon and Minu Kim

Link to full article

포레스트파트너스, 에듀테크 태그하이브 30억 투자

December 24th, 2021 Posted by Portfolio News 0 thoughts on “포레스트파트너스, 에듀테크 태그하이브 30억 투자”

포레스트파트너스가 인도 향(向) 에듀테크 기업인 태그하이브(Tag Hive)에 30억원을 단독 투자했다. 태그하이브의 기술 경쟁력과 진입 장벽이 높은 공교육 시장에 빠르게 진출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태그하이브는 이번 투자금을 바탕으로 자체 개발한 솔루션 연구개발(R&D) 강화하고 인도 현지 사업개발팀 확장하는 데 투입해 인도 교육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태그하이브의 시리즈A 라운드에 포레스트파트너스가 단독으로 참여했다. 2017년 삼성벤처투자가 시드투자를 한 이후 4년 만에 가장 많은 투자금을 유치했다. 이로써 태그하이브의 누적 투자금액은 40억원이다.

2017년 삼성전자 사내 벤처 지원 프로그램 ‘C랩’에서 출발한 에듀테크기업 태그하이브는 한국 본사와 인도에 지사를 두고 있다.

태그하이브를 설립한 아가르왈 판카즈(Agarwal Pankaj) 대표는 한국에서 창업한 인도인이다. 인도의 MIT라 불리는 IIT(인도공과대)칸푸르에서 전기공학 학사, 서울대학교 전기공학 석사, 하버드 MBA 과정을 수료한 교육전문가다. 50개가 넘는 국제 특허를 발명했으며 2017년 MIT Technology Review에서 ’35세 미만의 혁신가상’ 수상, 2021년 포춘지가 선정한 인도 40세 이하 40인 목록((40 Under 40)에 선정됐다.

아가르왈 판카즈 대표는 인도의 교육 불평등을 해소하고자 태그하이브를 창업했다. 인도의 교육 환경은 대도시 사립학교가 중심이고 지역 간 교육 격차가 극명하다. 전국적으로 100만여개의 공립학교가 존재하지만 지역의 학교는 인터넷 연결도 어려운 열악한 환경이고 교사당 학생 비율(1: 32)이 높다.

다른 에듀테크 기업들은 사립학교에 집중하는 반면 태그하이브는 인도의 K-12 공립학교(100만개 학교, 1억7550만명 학생)에 초점을 맞췄다. 교내에서의 교육 참여, 학습효과를 극대화해 인도의 공교육부터 혁신할 유니콘 기업을 목표로 하고 있다.

태그하이브의 경쟁력은 자체 개발한 스마트 교육 솔루션 ‘클래스 사티(Class Saathi)’다. 영어와 인도어의 합성어로 ‘교실의 동반자’라는 뜻을 담았다. 블루투스 기반의 클리커(리모컨)를 이용한다. 교사가 내는 퀴즈에 학생들이 O·X, 숫자 번호가 새겨진 클리커에 답을 클릭하는 방식이다. 교사는 스마트폰 앱으로 전체 학생의 의견을 실시간으로 확인·수집· 평가할 수 있으며 학생 개개인별 참여도를 파악해 수업 수준을 조정하는 등 효과적인 수업 관리를 할 수 있다.

특히 이 제품은 스마트 교육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인도 여러 주(州)나 지역 학교에서 낮은 비용으로 높은 교육적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수업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AI 기반 러닝 솔루션인 태그하이브 어플리케이션(앱)은 숙제, 라이브 퀴즈 기능 등을 통해 학생들의 학업 퍼포먼스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동영상 강의, 정리노트 등을 제공하며 학습 능력을 분석하고 권고사항도 제시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독립적, 자율적 학습도 가능하다.

이미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태그하이브는 전국 2200여개 공립학교에 가정학습 앱을 출시하기 위해 인도 정부와 파트너십도 구축했다. 인도에서 두 번째로 큰 마디아 프라데시(Madhya Pradesh, MP)주의 52개 지역, 2000여개의 학교에 제품을 공급한다.

이번에 확보한 투자금을 바탕으로 현지 인력을 보강해 내년 4월 현지 새학기부터 공격적인 마케팅에 돌입할 계획이다. 인도 전역의 국·공립학교, 사립학교에 클래스 사티를 공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확보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이번 투자라운드에 단독 재무적투자자(FI)로 참여한 포레스트파트너스는 태그하이브 성장 속도를 보고 투자했다. 공교육 혁신을 통해 2023년까지 인도 10만개 이상의 학교에 솔루션을 공급하면서 사교육으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인도뿐만 아니라 공교육 환경이 열악한 다른 국가로 사업모델을 확장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포레스트파트너스 관계자는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인도의 교육시장에 진출해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는 태그하이브의 기술력을 높이 평가했다”라며 “특히 진입 장벽이 높은 인도 B2G, B2B 시장 진입에 성공한 판카즈 대표의 사업실행 능력을 보고 투자를 결정했다”라고 말했다.

이종혜 기자

기사링크

[주목! 이사람]에어로케이 대표 “외모·학력 NO…편견 없는 항공사 만든다”

November 23rd, 2021 Posted by Portfolio News, Uncategorized 0 thoughts on “[주목! 이사람]에어로케이 대표 “외모·학력 NO…편견 없는 항공사 만든다””

[서울=뉴시스] 이재은 기자 = “차별 없는 채용으로 항공사의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서 좋은 영향력을 끼치고 싶습니다.”

에어로케이는 신입 객실 승무원 채용 요건에 외모·학력·나이에 제한을 두지 않고, 타투도 허용한다고 밝혀 이목을 끌었다. 강병호 에어로케이 대표는 최근 뉴시스와 만나 “신생 항공사로서 편견과 차별을 넘어 더 많은 가치를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충북 청주국제공항을 거점으로 하는 LCC(저비용항공사) 에어로케이는 지난 4월 청주~제조 노선 정기편 운항을 시작했다. 출범 5년 만에 우여곡절 끝에 취항하게 된 만큼 감회도 남달랐다. 강 대표는 “몇 년 동안 힘든 일을 많이 겪은 끝에 취항했는데 탑승률이 계속 올라가고 있어서 힘이 된다”고 밝혔다.
실제로 취항 첫 달에는 탑승률이 16.1%로 저조했지만 이번 달에는 92%로 만석에 가깝게 운항하고 있다. 청주공항 내 점유율은 1위를 기록했다. 강 대표는 이용객들의 입소문 덕이 크다고 했다. 그는 “신생항공사이다 보니 처음엔 잘 몰라서 꺼려했던 점도 있겠지만 탑승했던 이용객들이 좋은 얘기를 해주고, 국토부에서 안전 부문에 높은 평가를 받는 등 상황이 좋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에어로케이의 가장 큰 차별점은 성별보다는 개성이 중요한 ‘젠더리스(성 구분이 없는)’를 강조한다는 점이다. 국내 항공사 최초로 젠더리스 유니폼도 도입했다. 봄·가을용 상의는 맨투맨 티셔츠에 재킷, 여름용 상의는 반팔 티셔츠에 조끼다. 하의는 모두 바지다. 기존 항공사 여성 승무원들이 입는 치마 정장은 없다. 신발도 구두가 아니라 운동화다.

또 지난달까지 모집한 승무원 채용 공고에 학력 제한 없음, 외모 규정 없음, 나이 제한 없음, 항공사 최초로 타투 허용도 눈길을 끌었다. 서류 전형 내 사진 제출을 금지하고 외국어 능력과 대외 활동 등 최소한의 요구 조건으로 1차 평가했다. 채용 캠페인에는 마치 119 구급대원을 연상시키는 기내 난동 행위를 제압하고 인명 구조 활동을 수행하는 강인한 모습을 공개하기도 했다.

강 대표는 “서비스도 중요하지만 승무원의 가장 중요한 업무는 ‘승객의 안전’이다. 기존 승무원 복장은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불편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생명과 안전을 책임져야 하는 직업인만큼 승무원이 ‘회사의 꽃’이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안전지킴이’라는 걸 강조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외형적 특징을 강조하던 기존 항공업계 문화에서 탈피하는 에어로케이의 모습은 LCC의 주된 소비층인 MZ세대에서 큰 호평을 받고 있다. 강 대표는 “기존 항공 업계의 수직적인 문화에서 벗어나 수평적인 분위기에서 좋은 아이디어가 나온다고 생각한다. 나이, 직급을 떠나서 특히 안전적인 부문에서는 언제든 자유롭게 의사표현을 해야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에어로케이는 미국의 사우스웨스트, 유럽의 라이언에어처럼 1차 공항이 아닌 2차 공항을 거점으로 두고 있다. 강 대표는 “2차공항이 이착륙비 등 비용도 절감할 수 있고 덜 혼잡한 부분에서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줄인비용만큼 안전과 서비스에 더 집중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지리적 측면에서도 청주는 전국 어디서든 1~2시간 거리에 자리하고 있다는 장점도 있다. 에어로케이는 지역 일자리 창출도 실현하고 있으며 앞으로 지역경제 성장에 커다란 돌파구가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강 대표는 양양국제공항을 거점으로 둔 LCC 플라이강원과도 지속적으로 교류하면서 협업할 계획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기존 항공업계는 서로 견제하는 분위기지만 저희와 플라이강원은 지역항공사인 만큼 마케팅 등 좋은 기회가 있으면 같이 키워가자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면서 “저희가 경쟁해야할 상대는 외국항공사이기 때문에 서로가 존중해주면서 발전하는 것이 윈윈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에어로케이는 내년 상반기 국제선 취항에 주력할 계획이다. 강 대표는 “일본, 중국, 대만 등 동북아시아로 국제선 취항에 집중하고 있다. 내년 3월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중장기적 계획으로는 항공기를 1년에 4~5대 도입할 것”이라며 “다른 항공사는 항공기를 줄이고 있는 추세지만 저희는 시장이 빨리 돌아오는 만큼 기회라고 생각하고 가능하면 도입을 늘릴 계획”이라고 했다.

이재은 기자

기사링크

포레스트벤처스, 창업자 출신 김형수 파트너 영입

November 22nd, 2021 Posted by Company News 0 thoughts on “포레스트벤처스, 창업자 출신 김형수 파트너 영입”

포레스트벤처스는 창업자 출신의 김형수 파트너가 초기 멤버로 신규 합류한다고 19일 밝혔다.

포레스트벤처스는 사모펀드(PEF) 운용사 포레스트파트너스가 벤처캐피털(VC) 영역의 투자전문성 강화를 위해 신규 설립한 자회사로, 현재 창업투자회사 등록을 준비중이다. 모회사인 포레스트파트너스는 기존 VC 영역에서 반도체 SSD컨트롤러 개발기업 파두, 클린테크기업 리카본, 온라인 글로벌 무역중개 플랫폼 트릿지 등을 발굴했다.

향후 초기 벤처 및 그로쓰캐피털 부문은 포레스트벤처스가 맡게 된다. 보다 차별화된 투자 전략을 가진다는 계획이다.

새로 합류한 김형수 파트너는 투자유치와 엑시트(투자금 회수)를 경험한 창업자 출신이다. 김 신임 파트너는 미국 웨슬리언대 심리학과를 졸업, 동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받고 실리콘밸리의 헬스케어 인공지능(AI) 기업에서 업무 경력을 쌓았다. 이후 MIT의 MBA 재학 중에 이원(Eone Timepieces)’을 창업했다. 이원은 ‘브래들리 시계’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만지는 시계’를 생산하는 회사다. 시각장애인들도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게 특징이다.

김종우 기자

기사링크